자유게시판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정서 용어 덧글 0 | 조회 1,778 | 2018-05-01 17:14:38
띵이  

ODD -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적대적 반항장애

거부적·적대적·반항적 행동양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되고, 그러한 행동이 사회적 또는 학업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하며, 같은 또래에 비해 문제행동이 더 자주 발생하는 장애.

반항성 도전장애 또는 적대적 반항장애라고도 한다. 뚜렷하게 반항적이고, 불복종적이고, 도발적인 행동을 하지만, 규칙을 어기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공격적인 행동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질환이다. 대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함께 갖고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나타나는 충동성과 과잉행동은 반항장애의 반항과 분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반항장애 아동의 약 4분의 1은 예후가 좋아서 수년 내에 상태가 많이 나아진다. 그러나 증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장애로 이행되는 경우에는 그 예후가 나쁘다. 합병증으로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학습장애·기분장애 등의 질환이 함께 올 수 있고, 수년 내에 행동장애로 발전할 수도 있다.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의 대상관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청소년들의 강력 범죄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해지면서 언론과 학계에선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밝히려는 노력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발달 초기 대상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아동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청소년의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적대적 반항장애는 아동이 권위적 대상에 대해 부정적, 반항적, 불순종, 그리고 적대적 행동을 보이는 대표적인 소아청소년기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빈번한 감정 폭발과 과도한 언쟁은 개인과 공동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의 발달 초기 대상관계 경험은 나를 두려워하는 엄마 경험’, ‘나를 버린 엄마 경험’, ‘나를 버린 가족 경험이다. 이러한 대상 경험은 아동의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이 새로운 대상과의 관계 변화 경험, 안아주기’, ‘버텨주기’, ‘기다려주기등을 경험하게 될 때 아동들은 몸과 마음의 활력을 찾을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의 성장 경험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타인과 더불어 즐길 줄 알도록 변화되었다. ‘발달 초기 대상경험의 중요성을 주목하며, 본 연구는 기독 상담학적 측면에서 새로운 대상과의 관계 경험 변화의 중요성’, ‘적대적반항장애 아동을 위한 자원’,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을 위한 상담 방법’, ‘적대적 반항장애 아동을 위한 돌봄등을 제시하였다.

 

CD - conduct disorder - 행실장애, 품행장애

타인의 권리나 입장을 침해하거나 나이에 걸맞는 기준이나 규범을 깨는 행동을 반복적·지속적으로 하는 증상.

 

AD - affective disorder - 기분장애

기분 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

뇌의 기분을 조절하는 부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증상이다. 우울증과 조울증이 대표적이다.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에 비해 훨씬 높은데, 그 이유는 호르몬의 차이, 임신과 출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등으로 추정된다.

증상으로는 인지기능이 떨어져 집중력이 감퇴하고 사고의 장애가 나타난다. 활력이 떨어지면서 수행능력 감소도 두드러져 공부나 일을 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 우울감과 흥미상실·수면장애·식욕부진과 체중감소·월경불순·성욕감퇴 등이 나타나며, 반대로 지나친 식욕증대와 수면과다 증상이 올 수도 있다.

불안증상도 환자의 90%에서 나타난다. 두통과 변비, 애매한 신체동통이 생기기도 하고, 화병이라고 해서 울화가 치솟고 억울감에 싸이면서 불면·심계항진·식은땀 등의 신체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며 대개 초기 아동기에 발병하여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특징을 지닙니다.

PHI - 충동성

과잉행동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핵심증상 중의 하나로 안절부절 못하는, 불필요한 움직임 등을 말합니다. 대개 부모들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이 모터가 달린 것처럼 움직이고 지나치게 기어오른다고 호소합니다. 이외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은 학교에서 자리를 벗어나 돌아다니기도 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않고 흔들어 대기도 합니다. 이런 과잉행동은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좋아지기는 하지만 다른 핵심 증상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은 지시를 끝까지 기다리지 않고 빠르게 반응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잘 다치거나 물건을 잘 망가뜨리고, 게임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도중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I - 주의력 결핍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은 주의력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의해서도 주의가 산만해집니다. 이런 아동을 두고 부모들은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쉽게 산만해진다’,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 ‘집중하지 않는다’, ‘일을 끝내지도 않고 딴 일을 벌인다라는 표현을 많이 합니다. 학령전기 아동들의 경우 비교적 주의집중력이 덜 요구되기 때문에 주의산만을 인식하지 못하고, 단순히 과잉행동이나 요구가 많은 것으로 간과되기 쉽습니다.

 

 

기분장애 - affective disorder

기분 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

뇌의 기분을 조절하는 부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증상이다. 우울증과 조울증이 대표적이다.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에 비해 훨씬 높은데, 그 이유는 호르몬의 차이, 임신과 출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등으로 추정된다.

증상으로는 인지기능이 떨어져 집중력이 감퇴하고 사고의 장애가 나타난다. 활력이 떨어지면서 수행능력 감소도 두드러져 공부나 일을 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 우울감과 흥미상실·수면장애·식욕부진과 체중감소·월경불순·성욕감퇴 등이 나타나며, 반대로 지나친 식욕증대와 수면과다 증상이 올 수도 있다.

불안증상도 환자의 90%에서 나타난다. 두통과 변비, 애매한 신체동통이 생기기도 하고, 화병이라고 해서 울화가 치솟고 억울감에 싸이면서 불면·심계항진·식은땀 등의 신체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https://blog.naver.com/dding80


  적대적 반항장애, 기분장애, 품행장애, 과잉행동장애
 
닉네임 비밀번호 코드입력